'용산국제업무지구' 내년 첫삽…100층 랜드마크 2030년 초 완공
24.03.04
f9dad786ce3fb3ee7f0adc65512e7149b9e5a1e1df1752e118a26fe0b814898592f1449a47d22e335412330f9ab2eeaa64aa8a4831a1f12a5450690c1e3adfd8

'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땅'이라 불리는 용산정비창 일대가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거듭난다. 최대 용적률 1700%, 높이 100층 내외 랜드마크가 들어서고, 약 50만㎡의 녹지가 조성된다.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을 마련하고 올해 상반기 구역지정을 목표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고 5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뉴욕 최대 복합개발지인 허드슨야드 4.4배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의 수직도시가 서울 한복판에 탄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010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2013년 자금 부족, 국제금융위기 등으로 구역지정이 해제됐으나 이번 계획을 통해 만 10년 만에 다시 추진된다.

내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을 시작으로, 2030년대 초반에는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완료 시 14만6000명의 고용, 연간 32조6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로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업무·주거·여가문화 등을 도보권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로 거듭난다.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업무복합·업무지원 등 3개 존으로 나뉜다.

특히 국제업무존은 획지를 분양 받은 민간이 창의혁신 디자인을 제안하면 도시혁신구역 또는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 최대용적률 1700%까지 고밀개발 가능하도록 시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곳에 금융 및 ICT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프라임급 오피스와 함께 마이스(MICE), 호텔, 광역환승센터 등을 조성하고, 랜드마크 최상층에는 서울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전망시설·어트랙션 등 복합놀이공간을 만든다.

그밖에 업무복합·업무지원존은 일반상업지역 등으로 용도지역 상향, 전체 사업지구 평균 용적률 900% 수준이 되도록 계획했다. 또 지하부터 지상, 공중에 이르기까지 공간 전체를 입체적으로 활용해 사업 부지면적(49.5만㎡) 100% 수준에 해당하는 녹지를 확보한다.

지상공원 등 평면 녹지뿐 아니라 ▲공중녹지(그린스퀘어) ▲순환형녹지(그린커브) ▲선형녹지(그린코리더) 등 수직·수평 녹지를 확보, 용산공원~한강공원~노들섬으로 이어지는 녹지보행축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환경·교통분야 최첨단 기술을 도입해 '탄소 배출 제로(0)지구'로 운영한다.

스마트교통수단 도입, 공항철도 신설 등 첨단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용산지역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을 현재 57%에서 70%까지 끌어올린다.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 등 선제적 수요관리를 통해 발생교통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

공유교통·자율주행셔틀·도심항공교통(UAM) 등 친환경 신교통수단을 도입하고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내연기관차량 운행 단계적 제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 등으로 탄소 배출을 대폭 줄일 계획이다.

전망대와 전시 등 즐길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한다. 업무복합존 건축물 고층부(45층)에 편리한 이동을 돕고 서울 시내 파노라믹 조망을 제공하는 '스카이트레일(보행전망교)'을 도입한다. 100층에 이르는 국제업무존 랜드마크 최고층에는 전망대·공중정원 등을 조성한다.

국제업무존 저층부에는 콘서트홀, 아트뮤지엄, 복합문화도서관 등을 배치해 공연·전시·체험을 즐길 수 있는 서울아트밴드(가칭)를 계획했으며, 중심부에는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뉴욕 허드슨야드의 '베슬(Vessel)'과 같은 상징 조형물을 설치해 명소화 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한강공원·노들섬까지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강변북로 상부 덮개공원도 조성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체계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용산국제업무지구 타운매니지먼트'(가칭)를 설립해 국내외 기업, 국제기구 등 유치를 위한 홍보에도 돌입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입지·잠재력 등 모든면에서 가능성이 무한한 땅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개발기회를 얻지 못했던 ‘용산’이 이번 계획(안)확정으로 혁신개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게 됐다”며 “국제비즈니스 허브이자 지속가능한 도시의 미래상을 담아낼 ‘용산국제업무지구’가구도심 대규모 융복합 및 고밀개발의 ‘글로벌스탠다드’가 되도록 모든 행정 역량과 자원을 집중 하겠다”고 말했다.

공유하기
광고보고 콘텐츠 계속 읽기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